3분기 증가폭 18년 만에 최대
혼인 건수 증가율도 역대 최고
인구는 24분기 연속 자연 감소
9월 태어난 아기 수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8.6% 증가하며 15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올해 누적 증가폭은 18년 만에 가장 컸고, 출산 선행지표인 혼인도 18개월째 늘었다.
26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5년 9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9월 출생아 수가 2만2369명으로 지난해 동월 대비 1780명(8.6%) 증가했다. 지난해 7월부터 15개월째 전년 대비 증가세를 나타낸 것이다. 9월 출생아 규모로는 2020년 9월(2만3499명) 이후 가장 많았다. 출생아 수는 월별 일수 차이나 특정 시기에 출생이 집중되는 계절적 요인을 배제하기 위해 통상 전년 동월 대비 증감을 따진다.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누적 출생아 수를 놓고 보면 증가세가 뚜렷했다. 이 기간 태어난 아기 수는 19만1040명으로 지난해보다 1만2488명 늘었다. 2007년 이후 동기 기준 18년 만에 가장 큰 증가 폭이다. 이런 추세라면 올해 연간 출생아 수는 지난해(23만8317명) 기록을 넘어설 가능성이 커졌다.
합계출산율도 반등했다. 9월 합계출산율은 0.85명으로 1년 전보다 0.06명 늘었고, 3분기 기준 합계출산율은 0.81명으로 0.04명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30대가 출산 증가를 주도했다. 3분기 30대 초반과 후반 산모의 출산율은 각각 늘어난 반면 20대 후반은 소폭 감소했다.
출생의 선행지표인 혼인 건수는 9월 1만8462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3095건(20.1%) 급증했다. 증가 폭과 증가율 모두 9월 기준 역대 1위다. 혼인 건수 증가세도 지난해 4월부터 18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1∼9월 누적 혼인은 17만6178건으로 작년보다 8.9% 늘었다.
연령별로는 3분기 남녀 모두 30대 초반 혼인율 증가가 두드러졌고, 혼인 종류별로도 초혼 증가가 뚜렷했다. 1000명당 혼인 건수를 나타내는 혼인율은 남자의 경우 30~34세에서 전년 동기 대비 2.7명 증가(51.1→53.8명)해 모든 연령대 중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여자도 30~34세가 5.6명(49.7→55.2명) 증가하며 가장 큰 폭의 상승을 보였다.
3분기 사망자 수는 8만5051명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5.0%(4479명) 감소했다. 출생아보다 사망자가 많은 구조가 지속하면서 인구는 2만11명 24분기 연속 자연 감소했다. 다만 출생아가 늘어난 덕분에 인구 자연 감소 폭은 1분기(-3만5874명)와 2분기(-2만3586명)에 비해 줄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국군 포로 기억의 날](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6/128/20251126519766.jpg
)
![[세계포럼] 강성 지지층에 포획된 정치](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15/128/20251015518693.jpg
)
![[세계타워] ‘제국’의 긴 손](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6/18/128/20250618518838.jpg
)
![[기고] 학교 폭력, 처벌을 넘어 회복으로](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6/128/20251126518460.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