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학년도 대입 정시에서 이공계 최상위권 수험생들의 ‘반도체’ 분야 선호도가 올라가고, ‘컴퓨터·소프트웨어(SW)’ 계열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입시업체 진학사는 2026학년도 정시 모의지원 결과를 발표했다. 모의지원 데이터는 수험생의 초기 관심도를 보여주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진학사에 따르면 올해는 수험생 증가, 대학수학능력시험 난이도 등의 요인으로 모의지원 이용자 수가 예년보다 크게 늘었다. 진학사는 해당 대학의 자연계열 전체 모의지원 증가율(1.35배)을 기준 지표로 삼고 두 학과군의 ‘상대적 변화’에 초점을 맞춰 분석했다.
우선 반도체공학(계약학과) 전공을 운영하는 5개 대학(고려대·서강대·성균관대·연세대·한양대)의 모의지원 데이터 분석 결과 모집인원은 전년도 73명에서 2026학년도 70명으로 감소했지만, 모의지원은 1646건에서 2482건으로 50.8%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자연계열 전체 증가율(35.3%)을 훨씬 웃도는 수준이다.
또 모의지원 건수를 모집인원으로 나눈 경쟁률도 22.55대 1에서 35.46대 1로 57.3% 늘어 자연계 전체(33.0% 상승) 증가율을 크게 상회했다. 진학사는 “반도체 인재 양성 정책, 관련 산업 전망, 졸업 후 취업이 보장되는 계약학과의 안정성 등이 취업 안정성을 중시하는 수험생·학부모에게 매력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해석된다”고 분석했다.
반면 컴퓨터·SW 계열(계약학과 제외)에 대한 관심은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5개 대학의 컴퓨터·SW 계열은 모의지원 수가 전년도 1899건에서 2026학년도 1508건으로 오히려 20.6% 줄었다. 모집인원 변화가 크지 않고(212명→222명), 자연계 전체 모의지원이 35% 이상 증가한 점을 고려하면 큰 하락 폭이다.
진학사는 “전년도에는 모집 규모가 커서 반도체 학과보다 모의지원 수가 많았으나 올해는 모집인원이 3배 이상 많음에도 오히려 관심을 보인 수험생이 더 적은 역전 현상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는 최근 IT 업계의 채용 축소와 생성형 AI 도입 확산으로 개발 직무 수요가 재편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컴퓨터·SW 계열에 대한 수험생들의 전망 인식에도 변화가 나타났다는 것이다. 올해 수시모집에서도 반도체 계약학과 경쟁률이 컴퓨터·SW 계열을 앞서며 이러한 선호 변화가 이미 감지됐는데, 정시모집에서는 이러한 흐름이 더 강화될 가능성이 있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은 “이번 모의지원 결과는 이공계 최상위권 학과의 선호 방향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며 “수험생들이 산업 전망에 대해 느끼는 기대치가 다르게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국군 포로 기억의 날](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6/128/20251126519766.jpg
)
![[세계포럼] 강성 지지층에 포획된 정치](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15/128/20251015518693.jpg
)
![[세계타워] ‘제국’의 긴 손](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6/18/128/20250618518838.jpg
)
![[기고] 학교 폭력, 처벌을 넘어 회복으로](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6/128/20251126518460.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