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이 올해 들어 처음으로 2% 중반대로 올라왔다. 농축수산물, 가공식품, 외식 등 먹거리가 고공행진을 지속했고 석유류는 환율 상승의 영향으로, 개인서비스는 추석 연휴 효과로 크게 상승했다.
또 최근까지 안정세를 나타냈던 전월세 등 주거비도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지방은 부동산 경기 침체로 여전히 주거비가 낮은 수준이지만 서울은 주택 시장 과열로 전월세 가격도 뒤따라 상승하는 모습이다.
5일 국가데이터처의 '10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10월 서울 지역 전월세가는 1.2% 상승했다. 아직 소비자물가상승률(2.4%)에 비해서는 상승률이 낮지만 부동산 경기가 부진했던 2023년(0.5%), 2024년(0.5%)과 비교하면 오름폭이 점차 확대되는 모습이다.
서울의 전월세가는 부동산 시장이 침체 상태에 있는 지방에 비해 훨씬 큰 폭으로 오르는 모습이다. 부산(0.0%), 대구(-0.1%), 광주(0.6%), 대전(0.3%), 충남(0.3%), 경북(0.1%), 제주(0.4%), 경남(0.5%) 등 지방과의 차이가 점점 벌어지고 있다.
이제 서울의 전월세가 상승은 전반적인 물가 수준에도 영향을 미치는 모습이다. 부동산 경기 침체로 전국 전월세가 상승률은 2022년 1.9%에서 2023년 0.5%, 2024년 0.2%로 급격한 하향 곡선을 그리다가 올해 들어서는 상승세로 돌아서 10월 0.8%까지 올랐다.
최근 전세의 월세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가운데 서울은 전월세가의 동반 상승이 나타나고 있는 점도 특징이다. 주택 가격이 상승하고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임대료 상승 압력도 커지는 모습이다.
10월 서울 지역 전세가와 월세가는 각각 전년 동월 대비 0.9%, 1.6%씩 상승했다. 전세가는 2023년(0.4%)과 2024년(0.0%) 안정세를 보이다가 올해 들어서는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월세도 2023년(0.7%), 2024년(1.2%)에 비해 오름폭이 점차 확대되는 중이다.
주택 임대료와 자가주거비를 포함한 물가 수준도 높아지는 추세다. 10월 자가주거비포함지수는 2.1%를 기록해 지난해 7월(2.1%) 이후 처음으로 2%를 넘어섰다. 자가주거비포함지수는 전월세뿐 아니라 자가 소유 주택의 임대료 상당액까지 포함해 물가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다.
내년에는 주택 공급 물량이 제한되는 가운데 '갭투자' 규제가 강화되면서 전세 가격이 급등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한국 건설산업연구원은 전날 열린 '2026년 건설·부동산 경기전망 세미나'에서 내년 전국 주택 전세 가격이 4.0%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김성환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10·15 대책 강도가 워낙 세 내년에도 전셋값이 급등할 수 있다"며 "인기 지역인 수도권은 내년 전세가격이 연간 5% 이상 오를 수 있다"고 말했다.
<뉴시스>뉴시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학폭 대입 탈락](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4/128/20251104518667.jpg
)
![[데스크의 눈] 트럼프와 신라금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8/12/128/20250812517754.jpg
)
![[오늘의 시선] 巨與 독주 멈춰 세운 대통령](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4/128/20251104518655.jpg
)
![[김상미의감성엽서] 시인이 개구리가 무섭다니](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4/128/20251104518643.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