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쿠폰 덕에 민간 소비 늘고
반도체·車 중심 수출도 호조세
새 정부 출범 후 첫 분기인 3분기 우리 경제가 1.2%의 깜짝 성장률을 기록하며 연간 1%대 성장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소비쿠폰이 내수를 진작하고, 반도체·자동차를 중심으로 수출 호조세가 이어진 덕분이다.
한국은행은 28일 올해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분기대비·속보치)이 1.2%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분기 기준 지난해 1분기(1.2%) 이후 1년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성장률이다. 지난 8월 한은 전망치(1.1%)보다도 높다.
3분기 깜짝 성장은 민간소비 등 내수가 견인했다. 전체 1.2% 성장 중 내수가 1.1%포인트, 순수출이 0.1%포인트 기여했다. 내수 중에서도 민간소비가 1.3% 늘며 2022년 3분기(1.3%)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동원 한은 경제통계2국장은 “소비심리 개선 효과, 소비쿠폰·전기차 보조금 지원 등 정부 정책, 스마트폰·전기차 등 신제품 출시효과, 전공의 복귀로 종합병원 정상화에 따른 의료소비 증가 등 요인이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정부소비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관련 건설 투자·인건비 지출, 건강보험 급여비 증가, 추가경정예산 지출 증가 등으로 1.2% 성장했다. 2022년 4분기(2.3%) 이후 가장 높은 성장률이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정부가 1·2차 추경을 통해 역할한 부분이 겹쳐서 나온 성적표”라며 “내수 활성화를 지속적으로 하면서 중장기적으로 한국 경제의 잠재성장률 향상을 위해 인공지능(AI) 대전환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올해 연간 성장률 1% 달성은 무난할 전망이다. 한은은 4분기 성장률이 -0.1∼0.3%면 연간 1%(0.95∼1.04%) 성장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앞서 한은은 지난 8월 4분기 성장률을 0.2%로 전망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가난의 대물림](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8/128/20251028518076.jpg
)
![[데스크의 눈] 설국열차와 부동산 시장](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8/128/20251028518087.jpg
)
![[오늘의 시선] 한국외교에 경종 울린 ‘캄보디아 사태’](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8/128/20251028518057.jpg
)
![[안보윤의어느날] 서툰 말 서툰 마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8/128/20251028517991.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