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38배 폭증”…한국인들, 너도나도 예약한 ‘이곳’ 어디길래?

관련이슈 이슈플러스

입력 : 2025-10-21 05:00:00 수정 : 2025-10-21 05:21:51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도쿄·하노이 대신 후지노미야·사파’…한국인 여행 트렌드, 이제는 ‘숨은 소도시’로 간다
일본 후지노미야 예약 38배↑·나하 렌터카 250%↑…대도시 대신 로컬 체험 선호 ‘뚜렷’

일본, 홍콩, 대만, 베트남 등 단거리 해외여행지가 꾸준히 사랑받는 가운데 기존 인기 국가 안에서도 ‘새로운 얼굴’들이 부상하고 있다.

 

최근 여행 소비자들은 단순히 유명 관광지를 보는 데 그치지 않고, 그 지역의 일상과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로컬 여행지에 큰 매력을 느끼고 있다. 게티이미지

대도시의 번잡함 대신 자연과 문화가 공존하는 ‘숨은 소도시’ 여행이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일본·베트남, 소도시 예약 급증…후지노미야 38배, 사파 60% 이상↑

 

21일 여행 플랫폼 클룩(Klook)이 공개한 2025년 1~9월 해외여행 예약 데이터를 보면 한국인이 가장 많이 찾은 국가는 일본·홍콩·대만·베트남 순이었다.

 

눈길을 끄는 건 이들 국가 내에서도 ‘비(非)대도시’ 지역의 예약 급증세다.

 

일본 시즈오카현의 후지노미야는 전년 대비 예약 건수가 무려 38배 이상 폭증했다.

 

오키나와의 나하 역시 렌터카 예약이 250% 급증했다. 베트남 북부의 고산도시 사파는 60% 이상 성장했다.

 

관광업계 한 관계자는 “단순 관광보다 현지의 문화와 자연을 체험하려는 여행자들이 늘면서 이런 변화가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현지 문화 깊이 체험”…로컬 중심 ‘느린 여행’이 대세

 

전문가들은 이번 트렌드를 ‘경험 중심 여행(Experience-oriented Travel)’의 확산으로 해석한다.

 

여행 트렌드 전문가는 “최근 여행 소비자들은 단순히 유명 관광지를 보는 데 그치지 않고, 그 지역의 일상과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로컬 여행지에 큰 매력을 느끼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후지노미야나 사파처럼 아직 많이 알려지지 않은 도시들이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말했다.

 

후지노미야는 후지산 자락에 자리한 소도시로, 온천·미식·쇼핑을 한 번에 즐길 수 있다.

 

대표적인 여행 상품으로는 후지산 명소 투어, 아울렛 쇼핑, 온천 체험 등이 있다.

 

한 여행자는 “도쿄보다 훨씬 조용하고, 후지산을 배경으로 한 도심 풍경이 인상적이었다”고 전했다.

 

베트남의 사파는 인도차이나 반도 최고봉인 판시판산(해발 3143m)과 소수민족 마을이 어우러진 고산도시다.

 

최근 하노이~사파 고속도로 확충으로 접근성이 개선되며, ‘접근 가능한 오지 여행지’로 인기를 끌고 있다.

 

◆“혼잡한 도시보다 조용한 휴식”…MZ세대가 이끄는 감성 여행

 

소비자 심리 전문가는 “여행자들이 혼잡한 도심보다는 조용하고 여유로운 환경에서의 힐링 경험을 선호하고 있다”며 “SNS에서는 ‘나만 아는 여행지’, ‘숨은 명소’라는 키워드가 MZ세대 사이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MZ세대 여행자들은 ‘핫플레이스’보다 감성적이고 독특한 지역 경험을 중시한다.

 

나하의 자유여행 수요 급증 역시 이를 반영한다.

 

대도시의 화려함보다 낯선 소도시의 따뜻함이 한국인 여행자를 움직이고 있다. 게티이미지

렌터카 예약이 250%나 늘어난 것은 “스스로 일정을 설계하고 움직이는 자유여행의 확산”이라는 분석이다.

 

그는 “자유여행이 보편화되면서 개인 맞춤형 일정과 탐험형 여행 욕구가 맞물리고 있다”고 부연했다.

 

◆소도시 여행, 지역 경제에도 ‘긍정적’

 

관광산업 전문가는 “이 같은 흐름은 대도시 관광 과밀화를 완화하고, 지역경제를 살리는 긍정적인 변화”라며 “소도시 여행 확산은 지속 가능한 관광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또 “여행 플랫폼, 항공사, 지방정부가 협력해 소도시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다음 과제”라고 덧붙였다.

 

대도시의 화려함보다 낯선 소도시의 따뜻함이 한국인 여행자를 움직이고 있다.

 

2025년 여행 키워드는 ‘로컬 감성’, ‘경험 중심’, ‘자유여행’이다.


오피니언

포토

이안 '러블리 카리스마'
  • 이안 '러블리 카리스마'
  • 하츠투하츠 에이나 '깜찍한 매력'
  • 문가영 '완벽한 여신'
  • 정소민 완벽 이목구비…단발 찰떡 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