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작년 심정지 환자 생존율 8.7%→7.5%…큰 폭 감소

관련이슈 이슈키워드

입력 : 2021-11-30 15:43:24 수정 : 2021-11-30 15:43:22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질병청·소방청 “작년 119 이송 심정지 환자 총 3만1652명”
“의무기록조사 완료 3만1652명 중 7.5%인 2346명이 생존“
“뇌기능 회복율, 5.4%→4.9%…코로나19 유행에 생존률↓”
“‘감염 우려’에 심폐소생술 주는 등 여러 요인 복합 작용”
119 구급대 이송. 게티이미지뱅크

 

급작스럽게 심장 활동이 저하되거나 멈추는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이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 이후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지난해 1월부터 코로나19 유행이 시작되면서 환자 생존율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코로나19 감염 우려로 적극적인 심폐소생술 시행이 줄어들고, 방역 조치나 이송 병원 선정에 지연이 생긴 한편, 사회적 거리두기로 급성심장정지 예방을 위한 병원 이용이 줄어드는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것이다.

 

30일 질병관리청과 소방청이 공동 주관한 제10차 급성심장정지조사 심포지엄에 따르면 작년 119 구급대가 이송한 심정지 환자는 총 3만1652명이다. 이 중 의무기록조사가 완료된 3만1417명 중 7.5%에 해당하는 2346명이 생존했다.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관련 집계가 시작된 2006년 2.3%로 시작해 꾸준히 상승하면서 2019년 8.7%(3만279명 중 2623명)까지 올랐으나, 지난해 큰 폭으로 떨어졌다.

 

퇴원 시 혼자서 일상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뇌 기능이 회복된 비율은 4.9%로 이 역시 직전해 5.4%보다 줄어든 것이다.

 

전문가들은 지난해 1월부터 코로나19 유행이 시작되면서 환자 생존율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정성필 국가 급성심장정지조사감시 자문위원회 위원장은 “코로나19 감염 우려로 적극적인 심폐소생술 시행이 감소하고, 방역 조치나 이송 병원 선정에 지연이 생긴 데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급성심장정지 예방을 위한) 병원 이용이 줄어드는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편, 일반인이 시행하는 심폐소생술을 받은 환자는 매년 증가세를 보이며 지난해 26.4%를 기록했다. 2019년의 24.7%보다는 1.7%포인트(p) 올랐다.

 

질병청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일반인이 심정지 환자를 목격했을 경우 먼저 본인의 마스크를 착용하고 119 구급요원의 조언에 따라 심폐소생술이 필요한 상황인지 알아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만약 환자가 호흡이 없거나 비정상 호흡을 한다면 환자의 코와 입을 마스크나 천, 수건으로 덮고 인공호흡 없이 가슴압박을 시도하며, 이후 자동심장충격기를 사용할 것을 권고했다.

 

심폐소생술 이후에는 코로나19 감염관리지침에 따라 개인 방역을 준수하면서 보건당국에 알리고 진단검사를 받아야 한다.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민 '우아하게'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