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어제 부산을 시작으로 전국을 돌면서 여권을 성토하는 장외투쟁에 돌입했다. 검찰의 대장동 항소 포기 외압 의혹과 여권의 사법부 압박 등을 규탄하며 여론 결집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장동혁 대표는 황교안 전 총리 체포 직후 “우리가 황교안”이라며 강성 지지층과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법안 하나 통과시키지 못하는 소수 야당이지만, 그럴수록 국회 안에서 여권의 정책과 법안이 국익과 민생에 부합하는지를 집요하게 따져야 한다. 내년 예산안 심의가 막바지로 접어들었다. 이런 중요한 시기에 장외로 뛰쳐나간 야당에 박수를 보낼 국민은 많지 않을 것이다.
국민의힘은 비상계엄 선포 1년이 다 돼가도록 윤석열 전 대통령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은 탄핵당해 내란 혐의 재판을 받고 있다. 당내에도 윤 전 대통령과 절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적지 않지만, 장 대표는 ‘집토끼’만 지키는 전략으로 일관하고 있다. 그 사이에 중도층은 하나둘 등을 돌리고 있다. 최근 한국갤럽조사에서는 내년 지방선거에서 ‘여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는 응답이 한 달 전 조사보다 3%포인트 늘고, ‘야당이 더 당선돼야 한다’는 응답은 1%포인트 줄었다. 국민의힘 행태가 중도층 민심과 충돌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여권의 실점이 국민의힘 득점으로 연결되지 않고 있는 이유를 성찰해보기 바란다. 하루라도 빨리 윤 전 대통령과 절연하고 당을 쇄신해야 미래가 열린다.
강성 지지층에 기대는 행보는 더불어민주당도 오십보백보다. 민주당은 당 대표·최고위원 선출 시 권리당원의 투표권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당헌·당규를 개정하려 한다. 17대1 수준인 대의원·권리당원 투표 반영 비율을 1대1로 바꿔서 당원 주권을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정청래 대표는 지난 전당대회에서 권리당원의 압도적 지지 덕분에 당 대표가 됐다. 그렇다 보니 당내에선 당헌·당규 개정이 정 대표의 연임을 위한 정지 작업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민주당 권리당원은 호남과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 당권 역학 구도를 떠나 이번 개정이 특정 지역의 표심을 과대평가하는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 전국 정당을 지향하는 민주당 행보에도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정 대표는 유튜버 김어준씨가 만든 온라인 신문을 ‘민심의 바로미터’라고 치켜세웠다. 이런 대표 체제에서 권리당원의 입김이 더 세지면 당내의 합리적 목소리는 더 위축될 것이다. 협치 공간도 더 축소될 수밖에 없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경찰 노조](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3/128/20251123510240.jpg
)
![[특파원리포트] 대마도는 누구 땅인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3/128/20251123510235.jpg
)
![[이종호칼럼] 건강한 대한민국, AI가 길을 열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3/128/20251123510222.jpg
)
![[김정기의호모커뮤니쿠스] 입씨름은 말고 토론해야 할 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3/128/20251123510230.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