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20~40대 젊은 층 사이에서 대장암 발생률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조기 신호를 놓치지 않으려는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갑자기 길고 얇아진 변’이 반복된다면, 단순 소화불량이 아닌 대장암을 암시하는 초기 증상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22일 국가암등록 통계에 따르면 대장암은 국내에서 갑상선암·폐암에 이어 발생률 3위를 기록할 정도로 흔한 암이다.
흡연, 비만, 서구화된 식습관 등이 영향을 미친다. 최근에는 젊은 연령층에서도 조기 대장암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다.
◆왜 ‘길고 얇은 변’이 위험 신호일까
대장은 음식 찌꺼기가 통과하는 굵은 튜브와 같다. 이 통로에 종양이 생기면 내부가 좁아지면서 변이 지나가는 형태가 바뀐다.
대장암 환자의 변이 얇고 길게 나오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건강한 사람의 변은 일반적으로 소시지 형태로 굵고 매끈하게 한 번에 나오거나 작은 덩어리 형태로 규칙적으로 배출된다.
그러나 대장 내부가 종양으로 좁아지면 변이 가늘고 비정상적으로 길어지는 모양을 보인다.
여기 더해 △배변 습관 변화 혈변 △체중 감소 △복통 등의 증상이 반복된다면 조기 검사가 필요하다.
◆“설마 암?”…젊다고 방심하다간
대장암은 과거 중장년층에서 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여겨졌지만, 최근 20~40대에서도 발병률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서구화된 식습관 △육류·가공육 중심 식단 △좌식 생활 증가 △스트레스 △가족력 등을 주요 원인으로 꼽는다.
젊은 층은 증상 발생에도 “설마 암이겠어”라며 병원을 찾지 않아 발견 시 이미 진행된 경우가 적지 않다.
◆대장암, ‘식단’에 가장 민감한 암 중 하나
대장암은 식습관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 총 섭취 열량이 높을수록 발병 위험이 증가한다.
또한 △적색육·가공육 과다 섭취 △섬유질 부족 △고지방 식단 △불규칙한 식사는 대장 내 염증 반응과 발암 물질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반면 채소·과일·통곡물의 섬유질, 항산화 영양소는 대장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고 발암 물질 체류 시간을 줄여 예방 효과를 높인다.
전문가들은 “갑작스럽게 길고 가늘어진 변은 대장 내부 통로가 종양으로 좁아졌을 때 흔히 나타나는 신호”라며 “혈변, 체중 감소, 복통이 동반된다면 즉시 검사가 필요하다. 젊은 층에서 증가하는 만큼 증상을 절대 가볍게 넘기면 안 된다”고 말한다.
대장암은 초기 증상이 모호해 조기 발견이 어렵다. 하지만 변 모양의 변화는 비교적 이른 시기에 나타나는 징후다. 반복된다면 반드시 내시경 검사를 통해 확인해야 한다.
대장암은 식습관과 밀접한 암이다. 열량 과다 섭취, 가공육 중심 식단, 섬유질 부족 모두 위험 요인이다. 무엇보다 ‘평소와 다른 배변 습관 변화’는 몸이 보내는 초기 경고다.
영양학계 한 관계자는 “섬유질·항산화 성분이 풍부한 채소·과일·통곡물을 충분히 섭취하고 적색육·가공육을 줄이는 것만으로도 대장암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다”며 “식단 관리는 가장 직접적인 예방 수단”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 “변 모양의 변화, 가장 빨리 나타나는 경고”
대장암이 진행되면 변이 통과하는 대장이 좁아져 변이 얇아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단순 소화불량과 비슷해 보이지만 반복되면 반드시 검사를 받아야 한다. 조기 발견이 치료 결과의 핵심이다.
20~40대 대장암 환자가 꾸준히 늘고 있다.
‘나는 젊으니까 괜찮다’는 생각이 가장 위험하다. 변 모양이나 배변 횟수가 달라지면 즉시 체크해야 한다.
한 건강관리 전문가는 “대장암과 배변 변화의 상관관계를 알고도 ‘설마’ 하고 넘기는 경우가 많다”며 “반복되는 증상은 검사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가장 근거 기반의 건강관리”라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변 모양 변화가 일회성이라면 문제없을 수 있지만, 일주일 이상 지속되면 병원 방문을 권한다. 혈변이나 체중 감소가 함께 나타난다면 더욱 우선 검사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대장암은 국가 암검진으로 비교적 쉽게 조기 발견이 가능하지만 배변 변화를 가볍게 여기다 놓치는 경우가 많다.
자신의 배변 패턴을 꾸준히 관찰하는 것이 예방의 첫걸음이다.
많은 사람들이 배변 변화 같은 신체 신호를 스트레스나 일시적 문제로 치부한다. 그러나 반복되는 변화는 몸이 보내는 분명한 경고다. 작은 신호에 주목하는 것이 건강 행동의 핵심이다.
대장암은 조기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위험성이 높지만, 변 형태 변화만큼은 비교적 빠르게 나타나는 신호다.
대장암은 조기 발견만 된다면 치료 성적이 매우 높은 암이다. 작은 변화라도 무시하지 않고 관찰하는 것. 그것이 대장암 예방의 시작이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난각 번호 논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90.jpg
)
![[기자가만난세상]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인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73.jpg
)
![[세계와우리] 원잠을 보유할 준비는 됐는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96.jpg
)
![[기후의 미래] 빌 게이츠에 실망한 진짜 이유](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63.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