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흡연량이 2~5개비 정도로 적어도 장기적 사망 위험이 비흡연자보다 60%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흡연량이 하루 11~20개인 경우에는 사망 위험이 130%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담배를 가끔 피우거나 매우 적은 양만 피워도 사망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는 것이다.
미국 존스홉킨스의대 마이클 블라하 교수팀은 19일 의학 저널 플로스 메디신(PLOS Medicine)에서 32만여명을 대상으로 흡연 영향을 장기 추적한 22개 연구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흡연량이 적어도 비흡연자보다 심혈관질환과 사망 위험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흡연자에게 가장 중요한 공중보건 메시지는 흡연량을 줄이는 것보다 일찍 담배를 끊으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전 연구들에 따르면 흡연이 심혈관질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흡연량과 위험도 간 관계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특히 적은 양의 흡연이 미치는 영향도 명확하지 않았다.
연구팀은 오늘날 적은 양의 담배를 피우는 사람이 늘고 있지만, 흡연량이 하루 한 갑 이하인 사람도 흡연이 심혈관 건강에 미치는 위험과 금연의 장기적인 이점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32만3826명을 최대 19.9년 동안 추적 관찰한 22개 장기 코호트 연구의 데이터를 이용해 하루 및 연간 흡연량, 금연 기간,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 등과의 관계를 분석했다.
연구 기간 발생 건수는 심근경색(MI)이 1만7570건, 관상동맥질환(CHD) 3만625건, 심혈관질환(CVD) 5만4078건, CHD 사망 1만7429건, CVD 사망 3만3120건, CHD와 CVD를 포함한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12만5044건 등이었다.
분석 결과 현재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심혈관질환 위험이 남성은 74%, 여성은 104% 높았다.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도 남성은 117%, 여성은 143%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량의 경우, 하루 2~5개비를 피우는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이 60% 높았고 심혈관질환에 의한 사망 위험은 57% 높았다. 이들은 심방세동 위험 26%, 심부전 위험 57% 등 심혈관질환 위험도 높았다.
하루 흡연량이 11~20개비인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이 130% 높았고 심혈관질환에 의한 위험은 87%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연을 할 경우엔 첫 10년 동안 모든 질환과 사망의 위험이 가장 크게 감소했다. 그 이후에도 위험 감소가 지속돼 금연 20년 후에는 현재 흡연자보다 상대적 위험이 80% 이상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이 연구는 흡연 관련 연구 중 규모가 가장 크고, 가장 높은 품질의 데이터를 사용한 연구 중 하나”라며 “흡연은 매우 해로운 행동이고, 아주 적은 흡연량도 심혈관질환 위험을 크게 증가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어 “하루 흡연량을 줄이는 것보다 더 젊은 나이에 금연하는 게 위험을 줄이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지역의사제, 성분명 처방](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8/128/20251118518028.jpg
)
![[데스크의 눈] 검찰 흑역사에 추가된 ‘항소 포기’](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8/128/20251118518002.jpg
)
![[오늘의 시선] 최고의 환율 진정제는 경제 체질 개선](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8/128/20251118517963.jpg
)
![[김상미의감성엽서] 에밀리 디킨슨을 읽다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8/128/20251118517985.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