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시리즈 원작에도 폭넓은 흥행 저력
올 해외 영화 박스오피스 상위권 차지
OTT 등 스트리밍 확산 영향 자리매김
韓 영화 부진 속 점유율 15.8%로 급등
올해 국내 극장가의 승자는 한국 영화도, 할리우드 블록버스터도 아닌 일본 애니메이션이 될 전망이다.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이달 26일까지 해외 영화 박스오피스 1·5·10위가 일본 애니메이션이다.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이하 ‘귀칼’),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이하 ‘체인소 맨’), ‘극장판 진격의 거인 완결편 더 라스트 어택’ 순이다.
◆‘귀칼’·‘체인소 맨’ 쌍끌이 흥행
26일 기준 관객수 553만명을 기록한 ‘귀칼’은 일본 애니메이션으로는 역대 국내 최다 관객을 동원한 ‘스즈메의 문단속’(558만명)을 바짝 추격하고 있다. 올해 최대 흥행작인 ‘좀비딸’(563만명)도 턱밑까지 쫓고 있다. 관객 수가 아닌 매출액 기준으로는 ‘귀칼’(597억원)이 ‘좀비딸’(531억원)보다 이미 확연한 우세를 보인다. IMAX·4D·돌비시네마 등 특별관 관람 비중이 높아 객단가가 높았기 때문이다.
지난달 24일 개봉한 ‘체인소 맨’은 3주 연속 주말 박스오피스 1위를 기록하며 250만 관객을 돌파했다. 이는 2023년 개봉해 누적 490만 관객을 모은 ‘더 퍼스트 슬램덩크’보다 빠른 관객 동원 속도다. ‘체인소 맨’과 같은 날 개봉한 박찬욱 감독의 ‘어쩔수가없다’가 일일 박스오피스 6위권으로 추락한 반면, ‘체인소 맨’은 여전히 1위를 지키며 장기 흥행 저력을 입증했다.
16일 개봉한 ‘극장판 주술회전: 회옥·옥절’도 20만 관객을 눈앞에 두고 있다. TV 애니메이션 2기 에피소드를 극장판으로 재구성한 작품임에도 선전하고 있다. 12월에는 후속편 ‘극장판 주술회전: 시부야사변Ⅹ사멸회유’가 개봉 예정이다.
◆日애니, ‘마니아 영화’서 ‘대중 영화’로
올해 일본 애니메이션의 성과는 마니아층 흥행을 넘어 대중영화로 자리 잡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과거에도 일본 애니메이션이 극장가를 지배한 적은 있었지만, 올해 흥행의 성격은 다르다.
2023년 ‘스즈메의 문단속’은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으로, 감독의 팬덤 중심 흥행이었다. ‘더 퍼스트 슬램덩크’는 원작 만화에 대한 향수를 가진 중장년층이 흥행을 주도하다 10·20세대가 뒤늦게 유입되는 역주행 현상을 보였다.
반면 ‘귀칼’과 ‘체인소 맨’은 모두 원작 TV 시리즈라는 진입 장벽이 있음에도 폭넓게 흥행했다. OTT와 라프텔 등 스트리밍 플랫폼이 확산하며 누구나 TV 시리즈를 쉽게 즐길 수 있게 된 덕분이다. ‘귀칼’, ‘체인소 맨’, ‘진격의 거인’, ‘주술회전’, ‘스파이 패밀리’ 등 일본 인기 애니메이션은 오타쿠 전용 콘텐츠가 아닌, 국내 대중문화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IP로 자리매김했다.
한국만의 현상도 아니다. 북미에서 ‘체인소 맨’은 지난 24일 소니 자회사인 배급사 크런치롤을 통해 개봉, 첫 주 1720만 달러(약 2752억원)를 벌어들며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다. 지난 9월 ‘귀칼’의 북미 흥행 돌풍에 이어진 깜짝 성공이다. 미국 영화 매체 “(스트리밍 서비스인) 크런치롤이 팬층을 겨냥해 2부작 요약 프로그램을 플랫폼에 공개하는 등 체계적 마케팅을 펼쳤다”고 설명했다. 일본 애니메이션 콘텐츠의 플랫폼 접근성이 높아진 덕에 박스오피스 공략이 가능해졌다는 분석이다.
◆韓영화 점유율 50%↓ 추락 유력
국내 박스오피스에서 일본 애니메이션의 약진은 한국 영화의 부진과 맞물려 나타났다. 2018~2020년 1% 내외였던 일본 영화 관객 점유율은 올해(10월 말 기준) 15.8%로 급등했다.
한 영화관업계 관계자는 “한국 영화에 대한 관객 신뢰가 떨어지고, 국산 기대작들이 실패하며 일본 애니메이션 흥행을 부추긴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대중을 사로잡을 한국 영화가 출격을 준비하지 못한 가운데, 연말 극장가는 일본 애니메이션의 장기 흥행과 할리우드 대작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올해 한국 영화의 국내 관객 점유율(10월 말 기준 47.9%)은 50% 아래로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 ‘위키드: 포 굿’(11월19일 개봉) ‘주토피아2’(11월26일 개봉) ‘아바타: 불과 재’(12월 개봉 예정) 등 외화 기대작이 연말 극장을 채우는 가운데, 한국 영화 가운데는 대항마가 뚜렷하지 않은 상태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베레모 퇴출](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7/128/20251027517544.jpg
)
![[박창억칼럼] 겸손이 그렇게 힘든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7/128/20251027517535.jpg
)
![[기자가만난세상] 특별하지 않는 지역 방문의 해](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7/128/20251027517520.jpg
)
![[박현모의 한국인 탈무드] 분노보다 성찰, 배척보다 포용](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7/128/20251027517465.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