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매년 급증 ‘사탐런’ 내년엔 80% 넘나...“2027 대입 불확실성 더욱 커져”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 대학 수학능력 시험(수능)

입력 : 2025-10-25 12:52:18 수정 : 2025-10-25 13:45:50
차승윤 기자 chasy99@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현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이 치르게 될 202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때 ‘사탐런(과학탐구를 공부하던 자연계열 학생이 사회탐구로 전환하는 현상)’이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왔다. 사탐 1과목 이상 응시 수험생 비율은 80%를 넘길 것으로 보인다.

 

24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2026학년도 수능에서 사탐 과목을 1과목 이상 접수한 수험생 비율은 77.3%로 집계됐다. 사탐·과탐 혼합 응시는 2022년 처음 허용됐다. 허용 초기 사탐 응시 비율은 2023학년도 53.3%, 2024학년도 52.2% 수준에 머물렀다. 하지만 주요 대학 자연계 학과에서 사탐 과목을 인정하기 시작하면서 2025학년도 62.2%를 기록했고, 2026학년도 77.3%로 매년 증가폭이 빠르게 커지는 추세다. 2026학년도 응시 비율 77.3%는 사탐·과탐 과목별 접수 현황이 공개되지 않았던 2022학년도를 제외하면 역대 최고 수준이다.

 

사진=뉴시스

상승세는 내년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올해 고2 전국연합학력평가에서 사탐 응시 비율은 지난해 고2 대비 최대 4.7%p까지 상승했다. 9월 전국연합학력평가 기준 사탐 과목 중 ‘생활과 윤리’ 응시 인원은 전년 8만5127명에서 9만3611명으로 10.0% 증가했다. ‘사회문화’는 7만1348명에서 7만4657명으로 4.6% 늘었고, ‘윤리와 사상’은 5만518명에서 5만4051명으로 7.0% 증가했다. 전체 사탐 9개 과목의 응시 인원도 전년보다 1만3828명(3.8%) 늘었다. 반면 과탐 과목은 ‘화학Ⅰ’이 전년 대비 20.2%, ‘지구과학Ⅰ’은 13.3%, ‘생명과학Ⅰ’이 12.6%, ‘물리학Ⅰ’이 10.7% 각각 감소했다. 4개 과목 전체로는 4만6973명(14.1%)이나 줄었다.

 

2027학년도 수능까지 이 추세가 이어진다면 다음 수능 사탐 응시 비중은 80%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이사는 “2025학년도부터 주요 대학 자연계 학과에서 사탐 과목을 인정하기 시작하면서 ‘사탐런’ 현상이 나타났다”며 “2026학년도에는 그 현상이 급등했고, 현행 통합수능 마지막 해인 2027학년도에는 정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임 대표는 “2026학년도 수능 채점 결과와 대학입시 유불리 분석에 따라 2027학년도 사탐 쏠림은 겨울방학을 기점으로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임 대표는 “과탐 과목 중 응시생이 급감한 과목에서는 수험생들이 불안감을 느낄 수 있다. 특히 응시생이 적은 과탐Ⅱ 과목의 경우 입시 결과 예측이 어려워져 혼란이 커질 것”이라며 “현행 대입제도의 마지막 해라는 불안심리에 사탐 쏠림 현상까지 겹치면서, 2027학년도 대입의 불확실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오피니언

포토

박보영 동안 미모 과시…상 들고 찰칵
  • 박보영 동안 미모 과시…상 들고 찰칵
  • 41세 유인영 세월 비껴간 미모…미소 활짝
  • 나나 매혹적 눈빛…모델 비율에 깜짝
  • 비비업 킴 '신비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