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보험산업 성장률이 올해의 3분의 1 수준으로 쪼그라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업계에선 본격적인 수익성 저하에 대응해 적극적인 부채관리와 경영 효율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보험연구원은 21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2026년 보험산업 전망과 과제’ 세미나에서 내년 보험산업 성장률이 2.3%(보험료 기준)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이는 올해 전망치인 7.4%보다 5.1%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특히 생명보험업의 수입 감소세가 두드러지며 내년 1.0%에 그칠 전망이다. 보험연구원은 “보장성보험의 성장세가 이어지겠으나 저축성보험과 변액보험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손해보험 원수보험료(보험사가 보험 계약자로부터 받은 보험료)는 자동차보험의 저성장 지속, 장기손해보험 성장세 둔화의 영향으로 2026년 3.5%에 머물 전망이다.
이에 따라 내년 보험계약마진(CSM)도 전체적으로 성장세가 둔화할 전망이다. 생명보험은 올해 64조7000억원 대비 0.6% 감소한 64조3000억원, 손해보험은 70조3000억원에서 2.1% 증가한 71조8000억원으로 예상된다.
보험연구원은 보험산업 위기 극복을 위해 상품 개발·판매 단계서부터 보험회사의 자본부담을 고려하고, 보유계약은 보험회사 간 계약이전을 활용해 경영효율성을 도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자산운용 시 자산집약적 재보험(AIR)과 파생상품을 활용해 자본관리와 투자수익률을 제고하고, 사업비 지출의 합리화를 통해 지출경쟁이 장래 이익을 훼손하거나 소비자 피해로 이어지지 않도록 시장규율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보험연구원은 신정부 국정과제와 연계한 보험산업의 정책 과제로 △인공지능(AI)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고령사회(Aging Society) △생산적금융(Productive Finance)을 꼽았다. 이를 가능한 한 빨리 실행해야 한다는 의미로 각 앞글자를 때 ‘ASAP’라고 제시했다.
황인창 보험연구원 금융시장분석실장은 “중장기적으로 건전성과 수익성의 약화는 보험회사의 위험보장 역량과 미래대응 여력을 저하시킬 우려가 높다”며 “2026년 보험산업은 적극적 부채관리, 자산운용 고도화, 비용 효율화와 함께 신정부 정책에 기반해 성장 전략을 빠르게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촉구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