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AI 컨트롤 타워 민·관공동 참여 바람직” [심층기획-AI 강국으로, 국민인식은]

관련이슈 세계뉴스룸

입력 : 2025-09-16 18:46:16 수정 : 2025-09-16 18:46:15
이동수·김범수 기자

인쇄 메일 url 공유 - +

국가전략위 구성 대해 43% 응답
전문가·정부 중심 폐쇄성에 우려

이재명정부의 ‘인공지능(AI) 드라이브’ 컨트롤타워를 맡은 국가AI전략위원회가 전문가·정부 등 단일 주체에 의해 운영되기보다 다양한 집단이 참여해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국민 10명 중 7명은 AI 정책 결정 과정에서 시민의회, 공청회 등 시민참여 공론화 절차가 필요하다고 봤다.

세계일보·공공의창 공동 여론조사 결과 국가AI전략위의 가장 중요한 운영 원칙으로 ‘민·관 공동 협력과 다양한 분야 참여’(42.7%)가 꼽혔다. 이어 ‘전문가 중심의 독립적 운영’(26.9%), ‘정부 중심의 강력한 리더십’(16.5%) 순이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8일 서울 중구 서울스퀘어에서 열린 국가인공지능(AI) 전략위원회 출범식에서 발언을 마친 뒤 자리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위원장을 맡은 국가AI전략위는 지난 8일 출범했다. 민간 위원 34명과 주요 부처 장관급 13명, 대통령실 2명 등 민관 주요 인사들로 채워 △AI 혁신 생태계 조성 △범국가 AI 기반 대전환 △글로벌 AI 기본사회 기여를 3대 축으로 ‘AI 3대 강국’에 안착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민·관 공동 협력에 대한 선호도는 세대별, 지역별 차이를 보였다. 만 18세부터 30대까진 ‘전문가 독립 운영’ 선호가 많았던 반면 50∼60대는 민관 협력이 필요하다는 응답률이 50%가량 됐다. 또 서울 등 수도권에선 ‘전문가 중심의 독립 운영’ 비율이 높았지만, 비수도권 대다수 권역에선 ‘민관 협력’의 우세가 뚜렷했다.

국가AI전략위 설립으로 가장 기대하는 효과로 ‘AI 산업 육성과 일자리 창출’(39.2%)과 ‘국가 AI 경쟁력 강화’(31.3%), ‘AI 관련 사회갈등 완화와 국민 신뢰 확보’(12.6%) 등이 꼽혔다. ‘AI 윤리·규제 정비’(8.9%), ‘AI 국제 협력과 표준 주도’(8.0%)는 한 자릿수에 그쳤다.

 

AI 정책 결정에서 시민참여가 필요하다는 응답은 69.2%로 필요하지 않다(14.6%)는 응답의 4.7배에 달했다. 설문 문항을 5점 척도로 환산했을 때 만 18∼29세(61.6점)와 30대(62.4점)는 60점대 초반에 머문 반면 40∼70대는 70점대 이상을 기록하는 등 중장년층의 시민참여 찬성 응답이 월등히 높았다.

지역별로는 대전·세종·충청, 광주·전라, 부산·울산·경남에서 ‘매우 필요하다’는 응답과 평균 점수가 전국 평균을 상회하며 시민참여 공론화에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일보·공공의창 공동기획

 

공공의창은 2016년 문을 연 비영리 공공조사 네트워크다. 리얼미터·리서치뷰·우리리서치·조원씨앤아이·코리아스픽스·한국사회여론연구소·서던포스트·시그널앤펄스·디오피니언·소상공인연구소·지방자치데이터연구소 11개 여론조사 및 데이터 분석 기관이 우리 사회를 투명하게 반영하고 공동체에 보탬이 되는 조사가 필요하다는 뜻을 모아 출범시켰다. 정부나 기업의 의뢰를 받지 않고, 매달 ‘의뢰자 없는’ 조사와 분석을 하고 있다.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슈화 '반가운 손인사'
  • 아이들 슈화 '반가운 손인사'
  • 신예은 '매력적인 손하트'
  • 김다미 '깜찍한 볼하트'
  • 문채원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