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상품 불매 등 여론 심상찮아
당국 “전수조사 진행할 것” 밝혀
미국에서 발생한 한국인 300여명 구금 사태의 여파가 쉽게 가라앉지 않으면서 한·미 정부가 다급히 진화에 나서고 있다. 한국인들이 무사 귀국하고 비자 워킹그룹 추진 등으로 일단락되는 듯했던 사태는 구금 당시 인권 침해가 심각했다는 문제 제기와 함께 재점화되는 분위기다.
15일 외교부는 미국 조지아주에서 발생한 한국인 구금 사건 중 일어난 인권 침해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필요시 미 측에 문제를 제기하겠다고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취재진과 만나 “국민들이 구금시설로 이송돼 어떤 인권 침해가 있었는지 등 전반적인 사실관계 확인을 진행할 것”이라고 했다. 외교부는 기업체 측이 직원들에게 파악한 내용을 전달받은 뒤 정부 차원에서도 얘기를 들어본다는 계획이다.

이 당국자에 따르면 현재까지는 미 현지에서 이뤄진 영사접견 시 우리 국민의 인권 침해 관련 진술이 확보되지 않았다. 면접이 급박하게 이뤄져 현장의 불편, 외부 의약품 반입, 통화 등 당장의 어려움 해소에 일단 집중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지 교섭 과정에서 정부는 우리 국민이 최대한 빨리 구금 시설에서 나와 귀국하도록 하는 데 최우선 목표를 뒀다. 이에 따라 체포·구금 과정의 불법적 행위나 인권 침해 부분에 시시비비를 가리는 것은 미뤘다는 설명이다.
영사관 측이 구금자들에게 사인을 종용했다는 증언과 관련해서는 “미 측에 우리 국민의 귀국 의사를 조속히 전달하기 위한 조치였다”고 이 당국자는 부연했다. 또한 미 이민세관단속국(ICE)의 ‘자발적 출국’ 요청 양식에는 원래 ‘체류요건 위반’을 인정하는 항목이 있는데, 이 부분에 체크하지 않는 쪽으로 진행된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부는 협상 과정에서 ICE가 무슨 기준으로 현장 단속을 했는지를 밝히라고 항의했다는 사실도 공개했다.
그럼에도 사태 초기 쇠사슬 체포로 각인된 이미지가 강력한 데다 한국에 돌아온 이들이 밝힌 증언과 불쾌했던 경험담이 확산하면서 한동안 미칠 영향은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반미 운동, 테슬라 차량 주문 취소 등 미국상품 불매 움직임까지 벌어지는 추세다. 이언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궁극적으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공식적인 유감 표시 혹은 사과가 있어야 하는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사안의 파급력이 커지는 것을 의식한 듯 트럼프 대통령은 14일(현지시간) 사회관계망서비스에 미국에 투자하는 해외 기업의 직원들을 환영하며 그들로부터 전문 기술을 배울 것이라고 올렸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