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억제·공급 대책 등 많다”
부동산 관련 추가 조치 예고
“검찰개혁, 추석 전 얼개 가능
특별감찰관 임명 요청도 지시”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한 달 만에 첫 기자회견을 열고 “부동산은 ‘맛보기’만 보여줬을 뿐”이라며 본격적인 정책 드라이브를 예고했다. 검찰개혁과 특별감찰관 임명 등 민감한 사안에 대해서도 속도감 있는 추진 의지를 드러냈다.
이 대통령은 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 기자회견에서 부동산 공급 대책을 비롯해 검찰개혁, 인사 원칙, 통합 국정 운영 방향 등에 대한 구상을 밝혔다.

이 대통령은 먼저 부동산 정책과 관련해선 “이번 대출 규제는 ‘맛보기’ 정도에 불과하다. 부동산 관련 정책은 많다”며 추가 대책을 예고했다. 이 대통령은 “수요 억제책, 공급 확대책이 있으며, 공급 대책은 신도시의 신규 택지만이 아니라 기존 택지를 재활용하거나 기존 부지를 활용하는 방법도 얼마든지 있다”고 했다.
다만 이 대통령은 수도권 중심의 신도시 개발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이 대통령은 “집이 부족하니까 있는 그린벨트 해소해서라도 신도시를 만들어 계속 공급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그러나 (수도권을) 조금만 벗어나서 지방 입장에서 보면 그건 목마르다고 소금물을 계속 마시는 것 아닌가”라며 반대했다.
이 대통령은 검찰개혁에 대해서는 “문재인정부 이후로 개혁 필요성이 더 커졌다.(검찰의) 자업자득이라고 생각한다”면서 “수사권과 기소권을 분리한다, 동일한 주체가 수사권과 기소권을 동시에 가지면 안 된다는 점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는 것 같다”고 강조했다. 제도 개혁 시점에 대해선 “추석 전에 하자고 지금 당대표 후보들부터 열심히 말하는 것 같다”며 “제도 자체를, 그때까지 얼개를 만드는 것은 가능할 수도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불편하긴 하겠지만, 저를 포함해 제 가족들과 가까운 사람들이 불행을 당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특별감찰관 임명 요청을 지시한 사실도 공개했다.

이 대통령은 인사와 관련해서는 “성향이 다르다거나 누구와 관련이 있다 이런 걸로 판단해서 배제하기 시작하면 남는 게 없어 정치보복으로 발전할 수 있다”며 한쪽 진영의 인물들만 등용할 수는 없다는 취지로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마음에 드는 색깔, 같은 쪽만 쭉 쓰면 위험하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미국과의 통상 협상과 관련해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시한인) 8일까지 끝낼 수 있는지 확언하기 어렵다”면서도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