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 역할·방위비 논의 관측
美, 사이버안보 위협국에 北 추가
한국과 미국, 일본의 합참의장이 다음 주에 서울에서 만나 북한 핵·미사일 대응을 포함한 한·미·일 3국의 군사협력을 논의한다.

3일 군 당국에 따르면, 김명수 합참의장은 댄 케인 미국 합참의장, 일본 합참의장 격인 요시다 요시히데 통합막료장과 10∼11일 서울에서 한·미·일 합참의장 회의(Tri-CHOD)를 개최한다. 지난 4월 취임한 댄 케인 미 합참의장은 이번 회의를 위해 이재명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한국을 찾게 된다. 미국 합참의장의 한국 방문은 2023년 11월 당시 찰스 브라운 의장의 방문 이후 1년 8개월 만이다.
최근 미국 측에서 주한미군 역할 재조정과 동맹의 국방비 증액 가능성 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가운데 미군 현역 서열 1위인 합참의장이 방한함에 따라 관련 논의가 이뤄질지 주목되고 있다. 한·미·일 3자 회의 외에 한·미 등의 양자 대담이 예정되어 있고, 대담 과정에서 양국 간 군사 현안이 거론될 수 있는 만큼 주한미군 역할이나 국방비 관련 논의가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행정명령에서 미국의 사이버 안보에 위협을 가하는 국가로 북한을 새롭게 적시한 것으로 3일(현지시간) 파악됐다. 백악관 홈페이지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사이버 안보 강화와 관련해 지난달 6일 서명한 행정명령에서 미국의 사이버 안보를 위협하는 나라로 이전 바이든 행정부의 관련 행정명령에 명시됐던 중국과 함께, 북한과 러시아, 이란을 추가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