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심호섭의전쟁이야기] 6·25전쟁과 전차 운용의 재발견

관련이슈 심호섭의 전쟁이야기 , 오피니언 최신

입력 : 2025-04-20 23:41:37 수정 : 2025-04-20 23:41:36

인쇄 메일 url 공유 - +

1차 대전의 참호전은 수많은 희생을 낳았지만, 전선은 거의 움직이지 않았다. 참호, 철조망, 기관총, 포병이 결합된 방어선을 돌파할 방법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 교착을 타개할 무기로 등장한 전차는 2차 대전에서 기동전의 핵심으로 진화했다. 대규모 돌파와 부대의 진격을 이끈 전차는 보병 지원을 넘어 전선을 흔드는 주력 전력으로 자리 잡았고, ‘지상전의 왕자’로 불렸다.

2차 대전 이후 최초의 대규모 전쟁인 6·25전쟁은 전차의 역사에 또 다른 시사점을 던졌다. 북한군의 T-34 전차가 등장하자, 전차도 없고 이를 막을 대전차 무기도 없었던 한국군은 ‘전차 패닉’에 빠졌고, 서울은 전쟁 발발 3일 만에 함락되었다. 그러나 서울까지 40㎞ 남짓한 거리에서 T-34의 진격 속도는 의외로 느렸다. 북한군은 전차를 집중 운용하기보다는 보병과 함께 포위섬멸을 노리는 보전협동 전술을 구사했고, 산악 지형과 좁은 도로, 교통 정체, 오인 진격 등의 요인으로 전차의 기동력은 제한됐다.

M26 ‘퍼싱’ 전차와 함께 진격하는 미 해병대의 모습

이때 미군의 M26 ‘퍼싱’ 전차가 투입된다. T-34와 M26의 성능은 어느 한쪽이 절대적으로 우위에 있다고 보긴 어려웠지만, 전차전의 승자는 항상 미군이었다. 그 차이는 스펙이 아니라 운용에 있었다. 다부동 ‘볼링 앨리’ 전투에서 미 전차 중대가 보병, 전차, 포병 협동으로 T-34 13대와 자주포 5대를 무력화했듯이, 항공지원과 대전차 무기를 포함한 제병협동이 결정적이었다. 하지만 6·25전쟁은 대규모 전차전이 벌어진 전쟁은 아니었다. 119회의 전차전 중 양측이 5대 이상을 투입한 전투는 단 7회뿐이었고, 대부분은 전차 4대로 구성된 소대 단위 전투였다.

미국은 2차 대전 이후 항공기의 발달로 대규모 전차전의 시대가 저물 것이라 보았지만 6·25전쟁은 이를 불식시켰다. 청천강 유역에서는 전차가 중공군의 공격을 저지하며 퇴각하는 아군의 방패가 되었고, 전쟁의 주요 양상이었던 고지전에서도 전차의 효용은 입증되었다. 특히 퇴물로 여겨졌던 M4 셔먼 전차는 적 전차의 위협이 사라진 고지전 환경에서 작고 민첩하며, 신뢰성 높은 플랫폼으로 활약했다.

6·25전쟁에서의 전차 운용은, 무기의 성능이 전장의 결과를 반드시 보장하지 않으며 낡고 오래된 무기라도 작전 환경과 운용 방식에 따라 충분히 빛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드론과 정밀 타격 체계가 전차의 입지를 흔들고 있는 지금, 전쟁은 이렇게 말한다. “승패를 가르는 건 단순히 무기의 성능이 아니라, 그것을 어떻게 쓰느냐의 문제다.”


심호섭 육군사관학교 교수·군사사학과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김지연 '청순 볼하트'
  • 김지연 '청순 볼하트'
  • 공효진 '봄 여신'
  • 나연 '사랑스러운 꽃받침'
  • 있지 리아 ‘상큼 발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