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선진 상임이사 ‘물질주의’ 비판
주동문 이사장, 인류 대멸종 우려
“기후 대응·지속 개발 방법 고민을”
“환경에 대한 무관심, 자연자원 남용은 심각한 문제를 야기했습니다. 환경문제에 대한 근본적 해결책은 인간, 자연 사이의 조화로운 관계를 고양하는 데 기반을 두어야 합니다.”
문선진 효정국제환경평화재단(HJIFEP) 상임이사는 12일 서울 송파구 롯데호텔월드에서 열린 ‘월드서밋 2025’ 첫 번째 세션 ‘기후 환경과 지구의 미래’ 에서 이 같은 진단으로 참석자들의 공감을 이끌어냈다. 세션의 주제는 ‘지속가능한 지구 환경 탐색: 기후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혁신 과제’. 참석자들은 인류가 당면한 기후문제의 심각성을 한 목소리로 지적하는 한편 해결책과 관련해 다양한 생각을 나눴다. 각 지역, 국가별 현황과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 조치들이 소개, 공유되기도 했다.

문 상임이사는 환경오염과 생물 다양성 손실, 생태계 악화, 기후변화 등을 환경에 대한 충분한 관심 없이 이뤄진 인간 활동의 결과로 꼽았다. 그는 “근본적 해결책은 인간과 자연의 조화”라며 “2017년 HJIFEP를 설립해 인간-자연의 상호 연결성 인식, 보편적이고 도덕적인 원칙 옹호, 물질주의적 세계관에서 벗어난 통찰력 모색을 통해 가장 효과적인 해결책을 찾고 있다”고 소개했다.
주동문 HJIFEP 이사장은 “기후변화와 환경위기의 추세가 계속되면 6번째 대멸종이 초래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며 “화석연료 사용 감축 등의 조치가 취해지고 있지만 국제사회의 행동은 느리고, 문제는 더 심각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기용 기후변화 대사와 마키 살 전 세네갈 대통령은 각각 기후 위기에 대한 한국 정부의 대응, ‘이중의 부담’을 짊어진 아프리카의 현실을 설명해 주목받았다.
정 대사는 재앙적 홍수와 산불, 해수면 상승 등 기후 변화 현황을 설명하며 “긴급하고 통합된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대사는 기후변화에 대응한 행동을 경제적 기회와 융합하고 화석연료의 단계적 폐지 등 장기목표 실현을 가속화할 것을 요청했다.
살 전 대통령은 오염 원인을 가장 적게 배출하는 아프리카가 기후변화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있는 현실을 환기시켰다. 그는 “아프리카는 기후위기에 가장 적게 영향을 미치지만 (기후위기로 인한) 결과의 비용을 혼자 감당해야 한다. 이것은 이중의 부담이나 불의”라고 꼬집었다. “지구 온난화에 맞서는 싸움이 반드시 공동의 싸움이어야 한다”는 살 전 대통령의 말이 절실한 이유다.
장서용 고려대 국제학대학원 교수는 살 전 대통령의 지적에 공감하며 ”개발도상국은 기후 변화를 막으면서도 계속 개발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해 있다”며 ”세계가 기후 변화를 줄이면서 지속적 개발이 가능한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