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 금값이 온스당 3000달러를 돌파하며 또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국내에서 거래되는 순금 한 돈도 60만원을 재차 넘어섰다. 미국 행정부가 촉발한 관세 전쟁 여파로 안전 자산에 대한 수요가 커지며 금값이 고공행진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올해 금값이 온스 당 3500달러를 넘어설 가능성이 있다는 진단을 내놓고 있다.
1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 14일 미국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금 선물 4월물은 온스 당 3001.1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종가 기준 3000달러를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금 선물 가격은 한때 온스 당 3017.1달러까지 오르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달에만 약 12.4% 가량 상승했다.
최근 하락세로 전환한 금 현물 가격도 재차 힘을 받는 모양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4일 기준 KRX금시장에서 1㎏짜리 금 현물 1g당 가격은 전 거래일 보다 1490원(1.07%) 오른 14만1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금 가격은 지난달 14일 종가 기준 16만3530원으로 역대 최고가를 찍은 뒤 현재까지 13% 가량 하락했지만, 이달 들어 다시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순금 한 돈(3.75g) 가격 역시 다시 60만원을 돌파했다. 한국금거래소에 따르면 순금 한 돈 가격은 현재 60만5000원을 기록 중이다. 지난 14일에는 사상 최고가인 60만7000원을 터치했다. 지난달 중순 처음으로 60만원을 돌파했던 순금 한 돈은 이른바 '김치 프리미엄'이 제거되며 지난달 말 58만원대까지 하락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올해 금값의 강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외신 등에 따르면 맥쿼리그룹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올해 금값이 3500달러까지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맥쿼리 측은 "올 들어 현재까지 금값은 우리의 예상을 넘어서고 있다"며 "금값은 올해 3분기 평균 온스 당 3150달러의 정점을 찍을 전망으로, 온스 당 3500달러의 최고가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BNP파리바 역시 금값이 올 2분기 3100달러를 넘어설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놨다. 데이비드 윌슨 BNP파리바 수석 상품 전략가는 "금 가격은 몇 달 안에 온스 당 3100달러에 도달할 것"이라면서 "금 값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혼란과 지정학적 변화에 따른 수혜가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금값 급등을 촉발한 글로벌 관세 전쟁이 완화될 경우 상승세 역시 둔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BNP파리바 측은 "금 시장은 하반기로 갈수록 트럼프 대통령이 초래한 무역 위험을 가격에 반영하거나 정상화할 것"이라며 "무역 긴장이 지속적으로 고조되지 않는다면 금 가격은 하반기에 더 이상 상승세를 유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뉴시스>뉴시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