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2001년 9·11테러로 미국 뉴욕의 세계무역센터 쌍둥이 건물이 붕괴됐을 때 현장에 투입된 뉴욕시 소방관 343명이 사망했다. 전체 희생자의 10분의 1을 넘는다. 미국 작가 레베카 솔닛은 저서 ‘이 폐허를 응시하라’에서 문제점을 지적했다. “대중은 자신들이 진작부터 알았어야 할 사실들을 비로소 인식했다. … 화재 진압 못지않게 중요한 소방관의 임무는 인명구조라는 사실 말이다. 대중매체는 소방관들을 한껏 치켜세웠지만, 많은 소방관들이 적절한 통신장비나 일관된 지시 없이 위험 속으로 내몰리는 현실은 경시했다.”

우리나라 소방관의 처지도 다르지 않다. 소방관이 화재 현장에서 화마와 싸우다 순직하는 일이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5일 밤 경기도 평택시 냉동창고 신축 공사장에서 불이 나자 건물 내부에 진입한 송탄소방서 소속 소방관 3명이 재확산한 불길에 고립돼 숨진 채 발견됐다. 지난해 6월 경기도 이천시 쿠팡물류센터 화재 이후 반년 만에 또다시 소방관이 희생된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순직하신 세 분의 소식에 가슴이 멘다”고 했다. 오늘 평택시 이충문화체육관에서 합동영결식이 경기도청장(葬)으로 치러진다.

더불어민주당 오영환 의원이 소방관 시절에 쓴 ‘어느 소방관의 기도’에는 이런 구절이 있다. “마땅히 준비되어야 할 것들이 주어지지 않는 상황에서도 국민의 생명을 지킨다는 자부심 하나로 땀 흘려 일했다. 하지만 여전히, 달라진 것은 없었다. … 사람들도 세상도 당장 보이지 않는 것은 너무나 빨리 잊어버린다.” 작가 김훈은 이 책 서문에서 “이 젊은 소방관의 말을 귀담아듣고, 우리 사회가 재난구조의 현장에 몸과 마음을 바친 수많은 소방관들의 희생과 노고를 정당하게 보호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했다.

반복되는 소방관 순직을 막으려면 화재 안전 감시체계 등을 강화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대형화재 발생 위험이 큰 공사장의 경우 소방 관련 법령이 아닌 산업안전보건법의 적용을 받아 화재 안전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제라도 낙후된 소방 장비, 화재 진압 매뉴얼, 소방관 근무환경 등 소방과 화재예방 관련 시스템을 뜯어고쳐야 할 것이다.


박완규 논설위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제나 '깜찍하게'
  • 정은지 '해맑은 미소'
  • 에스파 카리나 '여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