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10월 생산 1.9% 감소, 1년6개월 만에 최대↓…제조·서비스업도 감소세

입력 : 2021-11-30 08:48:49 수정 : 2021-11-30 09:15:11
이희경 기자 hjhk38@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제조업 넉달 때 감소세, 서비스업도 마이너스로 전환
“경기 회복 멈칫…10월 대체공휴일, 기저효과 감안해야”

제조업과 서비스업 생산이 나란히 줄면서 10월 전(全)산업생산이 전월보다 2% 가까이 줄어 1년 반 만에 최대폭으로 감소했다. 다만 10월 이틀의 대체공휴일이 생긴 것과 9월 생산 호조에 대한 기저효과가 영향을 미친 것인 만큼 경기 회복세가 꺾였다고 판단하기는 이르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30일 통계청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10월 전산업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 지수는 110.8(2015년=100)로 전월보다 1.9% 줄었다. 지난해 4월(-2.0%)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이다.

 

전산업생산은 7월과 8월 각각 0.7%, 0.1% 감소했다가 9월에는 1.1%로 반등했는데 10월에는 다시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제조업은 3.1% 감소해 7월 이후 넉 달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공급망 차질 등의 여파가 미친 것으로 보인다.

 

9월 1.4% 증가했던 서비스업도 10월에는 0.3% 감소로 전환했다. 공공행정은 8.9% 줄었고 건설업도 1.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 지수(계절조정)는 121.5(2015년=100)로 전월보다 0.2% 증가했다. 소매판매액 지수는 9월(2.4%)에 이어 두 달째 증가세를 보였지만 오름폭은 크게 둔화됐다.

 

설비투자와 건설기성은 각각 5.4%, 1.3%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3개월 연속 후퇴했는데 하락폭은 2020년 5월(-5.7%) 이후 가장 컸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1.0으로 0.2포인트 하락했다. 또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0.5포인트 하락해 101.6으로 집계됐다.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두 달째,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넉 달째 하락세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생산과 투자 등 소비를 제외한 주요 지표가 전월보다 약화하면서 최근의 경기 회복 흐름이 멈칫거리는 모습을 보였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10월 부진에는 대체공휴일 지정에 따른 조업일수 감소와 9월이 높았던 데 대한 기저 영향이 컸다는 점을 참작하며 봐야 한다”며 “10월 숫자만으로 경기흐름을 판단하기는 이르다고 본다”고 전했다.


이희경 기자 hjhk38@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박규영 ‘반가운 손인사’
  • 박규영 ‘반가운 손인사’
  • 임윤아 '심쿵'
  • 김민 ‘매력적인 미소’
  • 아린 '상큼 발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