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북한 기뢰 잡을 국산 소해헬기가 뜬다 [박수찬의 軍]

관련이슈 박수찬의 軍 , 디지털기획

입력 : 2021-04-04 06:00:00 수정 : 2021-04-04 09:58:16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마린온 상륙기동헬기가 시범비행을 실시하고 있다. 국산 소해헬기는 마린온을 기반으로 개발될 예정이다. 세계일보 자료사진

위풍당당하게 적 해안에 나타나 위용을 뽐내는 거대한 군함도 두려워하는 무기가 기뢰다. 저렴하고 단순하지만, 바닷속에 쉽게 설치할 수 있고 대량생산이 용이한데다 위력도 강력해 세계 최강 미국 해군도 겁내는 무기다.

 

최근에는 기뢰의 종류가 다양해지면서 특정 조건에서만 작동하거나 표적을 선별해 타격하는 기능도 등장하고 있다. 유사시 기뢰에 의한 해상봉쇄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 셈이다.

 

반면 기뢰를 제거하는 소해 작전 관련 기술은 기뢰의 발전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는 실정이다. 기존 소해함으로는 한계가 적지 않다. 미국을 비롯한 해군 강대국들을 중심으로 헬기를 이용한 소해작전 능력 강화에 힘을 쏟는 이유다. 

 

◆미국, 일본 등에서도 운용

 

기뢰 제거 작전에서 소해헬기는 소해함보다 속도가 빠르고 기동성이 우수하다. 적 기뢰가 설치된 해역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저공비행 능력을 활용해 기뢰와 충분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기뢰를 폭파, 안전성도 높다. 해상초계기를 비롯한 고정익 항공기는 불가능한 제자리비행, 전후좌우 비행이 가능해 함정이 접근할 수 없을 정도로 낮은 수심에서도 활동이 가능하다.

미 해군 MH-53E 소해헬기가 훈련을 위해 이륙하고 있다. 세계일보 자료사진

반면에 운용시간이 소해함보다 짧고 야간에는 작전활동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소해함과 소해헬기를 함께 기뢰 제거에 투입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최근에는 관련 장비가 소형화되면서 대형헬기 외에 구축함에서도 운용이 가능한 중형헬기도 소해작전 플랫폼으로 활용되는 추세다. 

 

소해헬기 중 우리에게 가장 잘 알려진 기종은 미국의 MH-53E다. 한미 해군의 연합훈련에 종종 모습을 드러내기도 한다. 

 

MH-53E는 1981년 첫 배치된 CH-53 대형 수송헬기를 소해 및 수송 등의 용도로 개조해 1986년부터 미 해군에서 운용중인 기종이다. CH-53보다 중량이 늘어났지만, 그만큼 연료 탑재량이 많고 엔진 출력도 강화됐다.

 

MH-53E는 AN/ALQ-166이라 불리는 기뢰제거 썰매를 장착한다. 헬기 하단에 기뢰 처리용 뗏목을 로프로 끌고 다니면서 넓은 면적의 기뢰를 제거한다. 기뢰 탐색용 음파탐지기와 자기 반응식 기뢰 제거 시스템 등을 갖추고 있어 짧은 시간 내 많은 기뢰를 처리할 수 있다.

미 해군 MH-53E 소해헬기가 기뢰제거용 썰매를 끌면서 기뢰를 없애는 훈련을 하고 있다. 미 해군 제공

일본 해상자위대가 사용하는 MCH-101은 영국과 이탈리아 합작사인 레오나르도의 AW-101 다목적 헬기를 소해 작전용으로 개조한 것이다. 

 

제작사인 레오나르도는 2015년 3월 MCH-101을 일본 해상자위대에 인도했다고 밝히면서, 미국 노스롭 그루먼 AN/AQS-24A 공중 지뢰 제거 시스템과 항공 기반 레이저 기뢰 탐지 시스템(ALMDS)을 갖췄다고 소개한 바 있다. 

 

AN/AQS-24A는 미 해군도 쓰는 고속 기뢰 소해 장비다. 해저와 수면에 떠 있는 기뢰를 실시간으로 탐지, 식별할 수 있는 고정밀 음파탐지기를 갖추고 있다. 광학 방식에 의한 탐색도 가능하다. 

일본 해상자위대 MCH-101 소해헬기가 이륙하고 있다. 세계일보 자료사진

AN/AES-1 항공기용 기뢰탐지 시스템(ALMDS)는 헬기 외부에 장착하는 포드 형태다. 레이저 광선을 이용해 해저의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기존보다 기뢰 탐색을 훨씬 빠르게 수행한다. 

 

미 해군의 MH-60S는 MH-53E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등장한 중형 헬기다. 성능은 우수했지만 기체 크기가 워낙 커서 함정 운용이 쉽지 않았고, 주둔 기지에서 멀리 떨어진 분쟁지역으로 급파해야 할 때는 C-5 수송기로만 이동이 가능해 신속한 전개가 어려웠다.

 

이에 따라 기동함대에서도 빠르게 소해작전을 펼칠 수 있는 기종이 필요하다는 판단 아래 MH-60S가 소해 작전에 투입됐다. 레이저 기뢰 탐색장비와 음파탐지기, 무인 기뢰 처리기 등을 장착한다. 

미 해군 MH-60S 헬기가 기뢰 제거장비를 동체 하부에 매단 채 제자리비행을 하고 있다. 레이시온 제공 

◆한국군도 독자적인 소해헬기 확보

 

북한의 기뢰 부설 위협에 노출되어 있는 한국군도 소해헬기 확보를 적극 추진중이다. 

 

방위사업청은 지난달 31일 열린 제134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소해헬기를 국내 연구개발방식으로 확보하는 방안을 담은 소해헬기 사업추진기본전략을 의결했다. 

 

2008년 소해헬기 도입 사업이 수면위로 떠올랐으나 장비 개발 지연 등의 문제로 지연됐다가 재추진되는 등의 우여곡절 끝에 이뤄진 결정이다. 

 

이번 결정에 따라 군은 2022~2030년 8500억 원을 들여 소해헬기를 개발해 실전배치할 예정이다. 

 

당초 소해헬기 사업은 미 록히드마틴의 MH-60S가 최종 승자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다. 해상작전헬기 2차 사업에서 MH-60R이 선정된 상황에서 유사한 기종을 도입하는 것이 후속군지원 등에도 유리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미 해군 MH-60S 헬기가 기뢰 제거장비를 장착한 채 비행하고 있다. 미 해군 제공

하지만 지난해 말부터 국산화 가능성이 제기됐다. MH-60R은 미국, 인도가 함께 발주했기 때문에 가격 인하 효과가 있었지만, MH-60S 소해형은 그런 부분을 기대하기가 어렵다는 것이었다. 

 

규모의 경제 효과가 크지 않은 상황에서 해외 업체들이 적극적으로 뛰어들 만한 요인도 많지 않다는 평가도 있다.

 

반면 한국군의 주요 장비 국산화를 확대하려는 정부 정책 기조는 꾸준히 이어졌다. 그 결과 소해헬기 국내 개발도 탄력을 받게 됐다.

 

국산 소해헬기 개발은 마린온 상륙기동헬기와 수리온 수송헬기 제작사인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주도할 가능성이 높다.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드는 국내 유일의 업체이기 때문이다.

 

소해헬기 개발은 마린온 상륙기동헬기에 관련 장비를 탑재하는 방식으로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KAI가 “소해헬기는 기술수준이 높지 않다. 개발할 자신이 있다”는 입장을 보이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마린온은 로터 접힘장치와 비상부주장비, 조종석 유리창을 닦는 세척액 분사장치 등 해상 운용에 필요한 기술이 적용되어 있다.

 

여기에 레이저기뢰탐색장비, 무인기뢰처리장비, 수중자율기뢰탐색체 등을 장착한 뒤 소해장비 통합운용콘솔을 통해 운용요원이 임무장비들을 통제하는 방식으로 개발이 이뤄질 전망된다.

 

자동비행조종시스템(AFCS)도 소해헬기 특성에 맞게 바뀔 것으로 보인다. 일본 해상자위대가 MCH-101을 도입했을 때, 개발사인 레오나르도는 AN/AQS-24A의 운용 개념과 형태 등을 고려해 자동비행조종시스템을 개조했다.

 

변수는 탑재 장비다. KAI가 소해 장비를 마린온에 체계통합하는 것은 성공 확률이 높다. 하지만 개별 장비의 성능은 KAI가 보장할 수 없다.

 

미국 등에서 수입한다면 문제는 없지만, 국산화한다면 KAI 외에 다른 국내 방산업체가 담당할 전망이다. 이렇게 되면 국내 업체가 국산화한 장비가 군 요구성능(ROC)과 전력화 일정을 충족할 수 있을지가 문제다. 개발이 난항을 겪는다면 국외 도입으로 선회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일각에서는 소해헬기 대신 무인기술을 활용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국내외에서는 무인수상정이나 무인잠수정을 원격 조종해 기뢰를 제거하는 방안이 예전부터 거론되어 왔다. 

수리온 해상작전헬기 상상도. KAI 제공

무인기술로 기뢰를 폭파하게 되면, 소해함이나 소해헬기에서 반드시 작전을 진행할 필요가 없다. 구축함이나 지상에서도 원격조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술적인 문제로 바다에서 작전하는 무인수상정이나 잠수정의 활용도가 무인기, 무인차량에 비해 뒤떨어진 상황에서 섣불리 소해작전의 무인화를 추진하기는 쉽지 않다는 반론도 나온다. 

 

군 관계자는 “기술이란 원숙기에 도달해야 실전에서 쓸 수 있는 것”이라며 “‘개발할 수 있다’와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다른 문제”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적어도 2030년대 후반까지 한국군의 소해작전은 국내 개발될 소해헬기와 2022∼2035년까지 1조8800억 원을 투입해 진행될 소해함(MSH)-Ⅱ 사업으로 확보되는 차기 소해함을 중심으로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다만 무인 기술 개발이 속도를 내면, 무인수상정이나 잠수정도 일부 투입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박수찬 기자 psc@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민 '우아하게'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