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고려대에서 챗GPT 등 인공지능(AI)을 이용한 학생들의 집단 부정행위가 드러난 가운데 서울대에서도 유사한 부정행위가 적발돼 충격을 주고 있다. 최근 치러진 서울대 교양과목 ‘통계학실험’ 중간고사에서 학교 측이 시험에 앞서 문제풀이 과정에서 AI를 활용하면 안 된다고 공지했지만, 일부 학생들이 챗GPT 등을 이용해 답안을 작성했다고 한다. 다른 대학에서도 비대면 시험 환경을 악용한 집단커닝 의혹이 잇따라 불거져 논란이 일고 있다. 이런 부정행위가 얼마나 만연해 있는지 말문이 막힐 지경이다.
대학뿐만이 아니다. 초중고교에서도 챗GPT를 이용한 부정행위가 벌어지고 있어 우려스럽다. 최근 과제에 AI를 활용하는 학생이 늘면서, 일선 학교에서는 입시에 영향을 미치는 수행평가 등 과제 평가 공정성을 두고 갈등을 빚고 있다. 교사들은 AI 이용 과제에 대한 대응 매뉴얼이 없어 의심이 들더라도 “다시 작성하라”고 하는 수밖에 없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AI발 부정행위’에 대한 대대적인 점검이 시급한 이유다. 원칙을 지킨 선량한 학생들이 시험·과제에서 피해를 보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문제는 제대로 된 가이드라인이 없다는 점이다. AI 사용 가이드라인이 없는 대학이 수두룩하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지난해 6월 전국 131개 대학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생성형 AI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갖고 있는 대학은 30곳뿐이었다. 대학들이 ‘비대면·AI 시대’에 걸맞은 평가방식을 갖추고 있는지도 의문이다.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에 따르면 강원 경남 경북 광주 대구 제주 충북 등 7곳은 교육청 차원의 AI 활용 가이드라인이 없었다. 지침이 마련된 10개 교육청 가이드라인도 1장짜리에 그치는 수준이거나 구체적 기준이 없는 경우가 많았다. 교육 당국과 대학들이 그동안 뭘 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AI 성능이 고도화되면서 학습 보조도구 수준을 넘어섰는데, 학교의 AI 사용 정책과 윤리기준 논의는 기술 발전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특히 AI를 윤리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건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교육부는 “다음 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책연구를 토대로 학교 내 AI 활용 가이드라인을 처음으로 만들 예정”이라고 밝혔다. 늑장대응으로 인한 교육 현장의 혼란을 막으려면 서둘러야 할 것이다. AI 시대의 교육과 평가 방식을 근본적으로 재정립해야 한다는 건 두말할 나위가 없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아베 본색’ 다카이치](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2/128/20251112517577.jpg
)
![[세계포럼] ‘종묘 뷰’ 세운상가 재개발](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2/128/20251112517575.jpg
)
![[세계타워] ‘야수의 심장’ 속마음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2/128/20251112517527.jpg
)
![[기고] ‘외로운 늑대’ 설칠까 불안한 대한민국](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2/128/20251112517163.jpg
)







![[포토] 아이린 '완벽한 미모'](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1/300/20251111507971.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