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직접일자리보다 ‘고기 잡는 법’ 지원해야 [끊어진 계층이동 사다리]

입력 : 2021-04-11 16:00:00 수정 : 2021-04-11 08:55:42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2021년 일자리 예산 2020년보다 19.8%↑
직업훈련은 1.2% 늘어나는 데 그쳐

선진국들 미래 일자리 수요에 초점
일자리와 산업 사이 메울 지원 필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단기 성과보다 미래를 내다본 일자리 확대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부분의 선진국은 미래 일자리 수요에 맞출 수 있도록 직업훈련에 초점을 맞춘 노동정책을 펴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취업지표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일자리에만 예산을 집중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6일 고용노동부와 재계 등에 따르면 올해 정부가 예상하는 일자리 예산은 모두 30조5481억원으로 지난해보다 19.8% 늘어났다. 고용장려금은 6조4950억원에서 8조4450억원으로 30.0% 많아졌고, 2조8587억원이 투입됐던 직접일자리 예산은 올해 3조1630억원으로 10.6% 증가했다. 하지만 직업훈련 예산은 1.2% 늘어나는 데 그쳤다. 직업훈련 관련 예산은 지난해 2조2434억원에서 올해 2조2709억원으로 275억원 많아진 게 전부다. 고용부가 한국판 뉴딜 사업의 일환으로 ‘K-디지털트레이닝’을 운영하며 디지털·신기술 분야 실무형 인재 양성에 힘 쏟고 있지만 실제 큰 효과를 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노동계와 재계에서는 정부의 지원이 직접일자리 확대에 쏠린 건 문제라고 지적한다. 신산업이 등장하면서 기존에 없던 새로운 일자리 수요가 늘고 있지만 정부의 정책은 여기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예산만 봐도 취업지원보다 직접일자리에 무게가 쏠려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노동연구원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의 2017년 노동시장정책 유형별 공공지출을 살펴본 결과 우리나라는 GDP의 0.16%를 직접일자리 예산으로 투입했다. 이는 한국노동연구원이 분석한 16개 나라 중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16개 국가의 평균은 0.06%다. 미국과 스위스, 스웨덴, 스페인, 노르웨이, 덴마크, 일본, 호주 등이 직접일자리 확대를 위해 GDP의 0.01%도 투입하지 않은 것과 비교된다. 직업훈련은 반대였다. 덴마크는 GDP의 0.46%를 사용했고 프랑스와 독일은 각각 0.28%와 0.18%를 투입했다. 반면 한국은 직업훈련에 GDP의 0.03%를 지원했다. 이는 16개 국가의 평균인 0.12%보다 낮은 수치다.

김용춘 한국경제연구원 고용팀장은 “스마트폰이 생기면서 앱 개발자나 유튜브 크리에이터 등 새로운 일자리가 만들어진 것처럼 역사적으로 기술의 발전은 새로운 일자리 시장 개방으로 이어져 왔다”며 “새로운 산업이 등장했을 때 일자리와 산업 사이에서 발생하는 미스매치를 메워줄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필재 기자 rus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
  • 오마이걸 유아 '완벽한 미모'
  • 이다희 '깜찍한 볼하트'